C A T E G O R Y566 초밥으로 유럽에서 연매출 5천억 원을 올린 비법 1.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녀는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그녀는 인생의 갈림길에서 항상 이것을 기준으로 선택을 해갔죠. 그래서 패션 대신 요식업 사업을 선택했습니다. 2. 사업을 운영할 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정에 이끌린 인사 정책, 그리고 융통성 없는 태도로 저자는 사업을 시작하면서 한동안 곤혹을 치뤘습니다. 3.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부터 세워놓아야 한다. 저자는 즐겁게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 지를 우선 정해놓았습니다. 그리고 그 기준에 맞는 사업을 시작했죠. 이 부분 읽어볼게요. 100p-102p, 106- 107p (오디오클립에서 낭독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 오디오클립에서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관심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 2021. 5. 5. 일본 총리와 그의 철부지 아들과 몸이 바뀌었다?! 총리는 자신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 , 소설 <민왕> 리뷰 한자와 나오키로 유명한 이케이도 준의 신간이 나왔다고 해서 읽어보았는데요. 민왕은 일본에서는 이미 드라마로 방영했다고 하는데 시의성이 있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웠고 인물들의 캐릭터가 살아 있어 드라마로 만들어도 흥미진진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즐거리는 간단합니다. 일본 총리와 그의 아들이 몸이 바뀌어버리면서 일어나는 좌충우돌을 그려냅니다. 몸이 바뀌어버리는 데 뇌파 조작을 할 수 있는최첨단 기술이 연관되어 있었는데요. 그리고 이 기술을 사용한 테러리스트의 의도는 신약 개발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작품 전체에 이 신약 개발과 관련된 이슈들이 깔려 있어요. 흥미로웠던 것은 이건 단순히 설정일 뿐이고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 설정으로 인해 아버지와 아들의 소통을 어떻게 해 나가는지, 각기 다른 세대를.. 2021. 5. 3. 면접장면이 의미하는 바 , 모범택시 6회 리뷰 5회에서부터 안고은의 서사를 위한 빌드업이 그려졌습니다. 죽은 언니에 대한 그리움에 사이트에 들어가 그녀에게 편지를 쓰는 그녀가 오늘은 더욱 사무치게 언니가 보고싶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죠. 그녀는 감정을 추스리지 못하고 김도기한테 드라이브를 제안하고 드라이브를 하면서 그녀는 누군가가 보고싶으면 어떻게 하냐고 그에게 묻죠. 김도기는 계속 생각한다고 했고요. 그리고 또 보고 싶으면 어떻하냐는 고은에게 사람들하고 그들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한다고 말해주죠. 김도기로서는 그녀의 사연을 이때만 해도 몰랐던 것 같습니다. 7회 예고편에서 그녀의 언니가 불법 동영상 공유로 억울하게 죽은 것을 알게 되어 놀라는 장면이 그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7회를 기점으로 김도기는 더욱 안고은과 그녀의 언니에 대해 그리고 자신의 가.. 2021. 4. 27. 기욤 뮈소의 <인생은 소설이다>책모임 후기 저는 오디오클립에서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블로그에 서평을 쓰듯 분석 위주로 써 내려갔지요. 그런데 이렇게 하는 게 소설책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가 본연의 문체를 느낄 수 있게 발췌본을 낭독을 하는 게 더 어울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한 거죠. 기욤 뮈소의 를 읽고 리뷰를 하기 전 이책은 리뷰보다는 장면 낭독으로 가는 게 더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세 장면을 명장면으로 꼽았습니다. 실제 작가 로맹과 로맹이 쓴 소설 속 주인공 플로라가 만나는 처음 만나는 장면, 플로라가 자신이 소설 속 주인공이라는걸 깨닫는 장면, 로맹이 소설 속 주인공들의 운명에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장면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낭독을 하다보니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 2021. 4. 26. 주식투자에서 계속 실패하는 이유, <돈의 심리학> 리뷰, 모건 하우절 억망장자 마이클 모리츠는 그의 회사가 장수하는 이유를 다음과 말합니다. 항상 회사 문을 닫지 않을까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내일이 어제와 다를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절대 안주하지 않습니다. 앞서 마이클 모리츠의 이야기는 생존이라는 단어로 압축할 수 있는데요. 의 저자는 이런 생존이라는 사고방식이 중요한 이유는 아무리 큰 이익도 전멸을 감수할 만한 가치가 없고. 복리의 수학적 원리가 직관적이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대단한 성장을 이루고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중간중간 끼어드는 예측 불가능한 일들을 견디고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이죠. 저자는 이 '살아남는다'의 사고방식을 현실 세계에 이렇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파산하지만 않는다면 결국엔 가장 큰 수익을 얻는다. 큰 수익을 바라는 것보다 .. 2021. 4. 24.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