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347 단 7일 만에 블로그 방문자수 3500명 늘린 비법, 최재봉의 마케팅톡톡 리뷰 최재봉의 마케팅 톡톡은 제가 꾸준히 시청하고 있는 유투브입니다. 성실한 청취자가 된 데는 1. 직접 코칭해서 성공한 케이스를 보여준다. 2. 코칭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준다. 이 두가지 이유 때문인데요. 이번에는 구독자 77명에서 3488명으로 단 7일 만에 블로그 방문자수를 늘린 부동산 블로그 마케팅 노하우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의뢰인은 서초동에서 부동산을 운영하신 분이었습니다. 이분을 위해서 마케팅 팁은 다음과 같아요. 네이버에 가서 서초동을 쳐본다. 관련검색어가 쭈욱 뜨는데 여기서 공략 키워드(부동산 관련)를 선별하면 된다. 관련검색어: 서초동 아파트, 서초동 오피스텔, 서초동 현대슈퍼빌, 서초동 현대아파트 각 키워드마다 검색자의 Needs는 다 다르다. ■서초동 아파트를 검색하는 검색자의 Ne.. 2020. 8. 19. 작가가 소설을 쓸 때 하지 말아야 하는 것, 이야기의 탄생, 윌 스토 소설은 읽는 독자들만의 재미가 있다.윌 스토의 말을 빌리자면, '인물이 어떤 연유로 그 인물이 되었는지 독자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궁금해하는 사이,문학을 읽는 즐거움'이 생기는 것이다. ■작가가 소설을 쓸 때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인물의 행동을 구구절절 설명하지 말아야 한다. 호기심이 소설을 읽게 되는 원동력이기에 너무 많은 단서를 주면 독자는 이내 흥미를 잃어버린다.소설이 끝날 때까지 자신만의 해석으로 이야기를 완성하는재미를 잃어버린다. 저자는 에서 독자들이 추리를 할 수 있게 어떻게 플롯을 짜는 지 명작 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엄청난 재산 상속에, 신문사를 경영하고 정치판을 뛰어 들며 누구보다도 방대한 수집품을 가졌던 남자.하지만 마지막에는 홀로 죽어간 남자에 대해 의문점을 갖고 다큐멘터리를.. 2020. 8. 14. 유투브 시작 후 구독자 빠르게 모으는 방법, 신사임당 인터뷰, 담백한브랜딩 제가 좋아하는 두 유투버 담백한브랜딩님과 신사임당님이 만났습니다. 그것도 유투브를 시작하는 분이시라면 관심을 가질 만한 컨텐츠를 들고 오셨죠. 오늘은 유투브 시작 후 구독자를 빠르게 모으는 비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컨텐츠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맥락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1단계 : 내 채널에 맞는 키워드를 20-30개 추린다. 블랙키위에 들어가라.(키워드 검색 인기 순위로 정렬되는 유용한 사이트) 연관 검색어를 포함해 100개로 확장해서 정리해라. 2단계 : 키워드에 바이럴을 조합하는 방식 뉴스 랭킹, 1boon, 인스타그램 인기게시물을 통해 이슈키워드를 100개 뽑아라. (주의할 점은 내 카테고리와는 전혀 관계 없어야 한다.) 드로우앤드류님은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유투브를 운영하고 계시.. 2020. 8. 12. [리뷰] 작가가 결함 있는 인물을 만들어내는 이유, 이야기의 탄생, 윌 스토, 소설 창작 작가가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방법은 작가지망생이라면 궁금해할 법한 이야기이지요. 책 을 읽어내려가면서 가장 흥미진진하게 읽은 부분이에요. 저자는 작가들이 인물들을 빚어내는 방법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해주고 있어요. ■ 결함 있는 인물을 만들어라. 이야기가 시작될 때 결함이 구체적으로 정의된 주인공이 등장한다. 주인공이 세계에 관해 갖는 오류를 보면서 우리는 그에게 공감하고, 오류의 원인에 대한 암시나 단서가 나오는 동안 주인공의 약점에 흥미를 느끼며 그가 벌이는 싸움에 감정적으로 몰입한다. (p.89) 예전에는 좋았다가 싫었다가 하루에도 몇번씩 감정이 변하는 저를 숨기기에 바빴어요. 뭔가 무게감이 없어보여서였을 겁니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할 때 이는 피크에 달하게 되죠. 이놈의 감정 때문에 기분이 오락가락하.. 2020. 8. 11. 소설을 쓸 때 은유를 반드시 써야 하는 이유, 이야기의 탄생, 은유의 사용 순수 문학 소설과 추리 소설과의 차이점은 은유에 있다고 봐요. 작법을 많이 읽는 사람들 대부분이 그런 것처럼 저도 항상 마음 한 자락에는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항상 지니고 있어요. 고심하다 내린 결론은 순수문학보다는 추리소설이나 웹소설에 도전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있겠다는 겁니다. 바로 은유는 천재적인 감을 지닌 몇 안되는 작가들이 만들 수 있는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은 소설 속에 쓰인 은유를 잘 정리해놓았습니다. 내가 쓰지는 못하지만 항상 좋은 문체를 음미하는 것은 하나의 즐거움이지요. 이 기본 작법서와 다른 것은 뇌과학적으로 이런 작법들이 왜 효용이 있는가 그 근거를 함께 담고 있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은유가 왜 사람들이 이야기가 빠져드는데 도움이 되는지 1.뇌과학적으로 정리한 점과 2.. 2020. 8. 4.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70 다음